서울 아파트 가격이 올 들어 최고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아주 많이 올라간 보유세 비중과 대출의 비중이 강화되자 대출 비중이 올라가고 , 커진 보유세 부담에 전세대출의 부담까지 강화되자, 월세 오름폭이 심하게 올라가고 잇닿는 분석입니다.
오늘 한국 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월세는 전월대비 0.32% 올랐습니다. 지난 5월 이후 연속 5개월 연속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강남권의 상승이 두드러 졌는데요, 지난달 동남권(강남구, 성남구, 송파구, 강동구)의 월세는 0.53% 올라 서울 다섯 개 권역 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구별로는 송파구가 0.73% 올라 1위에 올랐고, 서울 다섯 개 권역 중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서초구 0.63%, 도봉구 0.55%, 강북구 0.54% 등의 순위였습니다.
서울 서초등 반포자이 전용면적 84㎡는 지난달에 벌써 보증금 8억 원에 월세 800만 원에 계약되었습니다. 7월에 같은 보증금으로 체결된 계약의 월세는 300만 원이었습니다. 3개월 만에 100만 원이 오른 셈입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는 전용 59㎡는 지난달 보증금 5000만원에 월 330만 원으로 월세가 거래되었습니다. 지난 8월에 보증금 5000만 원에 월세 290만 원에 비교해 보면 월세가 두 달 만에 월세가 40만 원이 뛰었습니다.
*7.10 대책
정부는 지난해 "7.10"대책을 통해 다주택자 세율을 최고 6%로 올렸습니다. 또한 종합 부동산세까지 강화하였습니다. 이에 공시지가까지 크게 오르면서 22일 고지서에는 올해 분 종소세 부담은 크게 높아졌다고 합니다.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대출규제 강화, 매수심리의 약화
월세시장과는 달리 매매와 전세 가격은 상승세가 주춥하답니다.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0.83% 올라 , 지난 8월 0.92% ) 이후 2개월 연속 상승폭이 축소되었습니다. 대출규제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금융당국이 대출규제 인상, 기조를 전환하고 시중은행을 통한 대출 조이기를 조이면서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매수심리가 한풀 꺾였습니다. 부동산원을 서울은 저 건축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가계대출 총량 규제 기조 영향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어 상승폭이 축소되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강남, 마포, 용산 등 인기지역은 여전히 신고가 거래가 터지면서, 서울 평균을 웃도는 상승률을 보이고 있어, 본격적인 하락 전환이라고는 보기 힘들다고 입을 모으고는 있습니다.
서울의 아파트의 매매 수급 주수는 9월 125.3%에서 지난달 111,8%로 13.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급 지수는 100%를 넘어 숫자가 클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는 뜻입니다. 같은 기간 전세수급 지수도 110%에서 110.6%로 올랐습니다.
빌라의 매매 가격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입니다. 서울의 매매주택 상승률은 0.55%로 올 들어 가장 높았습니다. 지난 4월(0.20%) 이후 6개월 연속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아파트에 비해 저렴한 수요로 내 집을 마련하려는 수요가 늘어난 데다가, 오세훈표 재개발 등의 호재를 노린 투자수요가 유입된 영향으로 표현됩니다.
서울 부동산 정보 광자에 따르면, 서울 다세대 연립 매매, 거래 건수는 3516건으로 아파트 (1911건)을 크게 앞질렀다고 합니다. 지난달 주택종합 매매 가격 상승률은 0.88%로 전월 (0.92%) 대비 상상 폭이 축소됐습니다. 같은 기간 수도권에서도 상승률(1.24%에서 1.23%로)이 줄었습니다.
댓글